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6)
의학용어 CAG, PCI 방법, 간호 안녕하세요~! 오늘은 CAG, PCI에 대해 공부해보아요~! 시술이나 수술하기 전에 항응고제 복용 유무를 꼭 확인해야하는데,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분들 중 PCI history가 있는 경우가 많아서 공부해봤어요~! 보통 CAG를 하면서 PCI를 하고 온답니다! 심장동맥 조영술, 관상동맥 조영술 CAG (Coronary AterioGraphy) 심장동맥(관상동맥)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혈관의 혈태를 X선 촬영하는 검사이다. 관상동맥 조영술을 통해 협심증, 심근경색과 같은 관상동맥 질환을 진단하고 향후 치료를 결정한다. 관상동맥은 심장근육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는 심장동맥이다. 검사결과 혈관 협착이 있으면 스텐트 시술을 바로 시행할 수 있다.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스텐트 삽입술) PCI (Percutane..
요추천자 간호, 목적, 검사방법, 정상범위 안녕하세요~! 오늘은 병동에서 가끔 시행하는 요추천자에 대해 공부해보아요~! 자주하는 검사는 아니지만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 거예요~! 요추천자 Lumber puncture 뇌척수신경계 질환의 진단을 위해 뇌척수액을 채취하거나 그곳에 약을 투여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법이나 처치법이다. 지주막하강으로 바늘을 삽입해 뇌척수액을 수집하고, 양상, 뇌척수압 측정, 감염을 확인한다. 진단목적 1) 뇌척수압 측정 2) 뇌척수액의 검사물을 얻기 위함 3) 뇌척수액의 순환상태를 보기 위한 척수액 역동 검사(Queckenstedt's 검사) 4) 뇌와 척수관의 X-ray 촬영을 위한 공기, 산소, 조영제를 넣기 위함 -진단질병 세균성 뇌수막염,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그 외 뇌수막염, 뇌염, 뇌사르코이드증, 지주막하 출혈..
고칼륨혈증의 원인과 치료(인슐린, 관장, 벤톨린) 안뇽하세요~! 오늘은 고칼륨혈증에 대해 알아보아요~! 고칼륨혈증이란? 혈중 칼륨 농도가 정상인 3.5~5.0mEq/L 이상으로 과도하게 상승한 상태이다. 칼륨은 근육, 심장과 신경의 흥분과 산염기 균형, 세포활성도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칼륨의 약 98%가 세포 내에 존재하므로, 칼륨이 세포 안에서 밖으로 소량만 이동해도 커다란 생리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고칼륨혈증의 원인 1) K 섭취 과다 고칼륨혈증의 가장 큰 원인은 신장 기능의 감소이다. 칼륨의 90%가 신장을 통해 배설되기 때문이다. 신부전 환자의 50% 이상에서 K섭취가 과다할 경우 쉽게 고칼륨 혈증이 나타난다. 칼륨이 많은 음식:바나나, 오렌지, 키위, 시금치 등이 있다. 2) 세포 용혈 심한 외상, 광범위한 화상, 감염, 근육 분해, 스트..
의학용어 PCD의 종류, Chest tube와의 차이점, PCD 관리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의학용어 PCD가 무엇인지 공부해보아요!! PCD 경피적 카테터 배액 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종류 3가지 종류가 있다. 적응증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1) Chest PCD 적응증: Plural effusion 흉수, Empyema 농흉, Pneumothorax 기흉 여러 원인에 의해 장막 흉막과 벽측 흉막 사이에 물이나 피가 고였을 때 흉관을 삽입하여 체외로 배액하기 위함이다. 2) Abdomen PCD 적응증: Ascites 복수 3) 위치에 따른 PCD 적응증 : 농양 있는 경우 Percutaneous abscess drainage 경피적 농양 배액술간농양 Liver abcess 내의 drain tube 삽입이나 기타 수술 후의 fluid co..
복강경 담낭 절제술 적응증, 과정, 수술후 합병증 안녕하세요~! 오늘은 복강경 담낭 절제술에 대해 공부해보아요 담낭쓸개라고 부르기도 한다.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담낭에 저장했다가 식사할 경우 담낭에서 담즙을 소화관을 분비한다. 담즙은 지방, 지용성 비타민의 소화을 도와주는 액체이다. 담낭 절제술 적응증 1) 소화불량, 복부 통증 등 증상이 있는 담석증 2) 담낭 질환의 발생 위험이 있는 담석증 3) 담낭염 4) 담낭용종, 선근종증 5) 담낭암 수술 전 준비사항 초음파, CT, ERCP(내시경적 영행성 담췌관 조영술)을 통해 염증의 정도와 담석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다. ERCP를 통해 수술 전 담석을 제거할 수도 있다. 검사를 통해 담낭 내의 염증이 심해 수술이 불가한 경우, 항생제를 사용하거나 담낭에 관을 꽂아 염증을 배액시키는 경피 경간 담도 배..
중심 정맥관의 종류와 간호 안녕하세요~! 다양한 종류의 중심정맥관과 중심정맥관 간호에 대해 공부해봐요! 중심정맥관 -> 말초 정맥을 통해 중심 정맥까지 삽입되는 관 중심 정맥관의 필요성 -> 한번 삽입하면 수액주입, 항암, 채혈 등을 위해 필요시 마다 정맥을 확보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반복적으로 정맥 주사를 맞아 발생하는 정맥염, 혈관통증, 항암제로 인한 일혈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중심 정맥관은 크게 비터널혈과 터널형으로 나눌 수 있다. 1. 비터널형 피하부위에 터널을 만들지 않고 직접적으로 혈관에 연결되는 중심 정맥관 1) Central Venous line (C-line) (1) 적응증 혈관 작용 약제의 투약, 중심정맥으로 투약해야하는 약제(중심정맥용 TPN, 고농도 전해질 등), 중심정맥압 모니터링, 혈액제제의 빠른 주..
광역동 암 치료 PDT 광역동 치료에 대해 알아보아요~! 1. 광역동치료(PDT)란? Photodynamic therapy 포피린계통의 광과민성 물질이 정상 건강세포보다 암세포에 오랫동안 축적되는 성질을 이용하는 새로운 암치료법으로 광과민성 물질을 정맥 주사한 후 암세포에 축적되면 약 48시간 후 암세포에 내시경이나 Guid wire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쪼이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되는 치료법이다. 2. 광역동치료 과정 1) 직사광선을 차단한 병실로 입실한다. 2) 광과민성 물질을 정맥주사 한다. 3) 48-72시간 동안 직사광선이 차단된 병실에서 생활한다. -> 형광등, 컴퓨터 모니터, TV 등이 빛은 괜찮다. 4) 48-72시간 후 내시경을 통해 레이저를 쪼인다. 3. 광역동 치료의 장점 1) 최첨단 비수술적 암 치료방법..
간생검 Liver biopsy 방법, 간호 안녕하세요 간 생검에 대해 공부해보아요~! 1. 간생검이란? Liver biopsy 간의 병리적 상태를 알 수 있는 진단적 검사로 간경변, 간염, 육아종, 종양 등을 진단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이다. 2. 간 생검 검사 전 준비 1) 자정부터 금식한다. 2) 시술 전 안정제와 진통제를 맞는다. 3. 간 생검 방법 1) 시술 부위에 소독을 하고 국소 마취제로 마취를 한다. 2) 생검 바늘을 간에 삽입할 때에는 숨을 내쉬고 1-2초간 숨을 멈춘다. 횡격막이 올라가 기흉이 생길 가능성이 감소한다. 3) 주사기로 천자 후 주사기에 붙어 있는 바늘을 통해 흡입하여 간조직을 떼어낸다. 4. 간 생검 후 주의사항 1) 시술 후 안내받은 시간 동안 금식한다.(4-6시간) 2) 3시간 동안 모래 주머니를 시술 부위에 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