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동 치료에 대해 알아보아요~!


1. 광역동치료(PDT)란? Photodynamic therapy
포피린계통의 광과민성 물질이 정상 건강세포보다 암세포에 오랫동안 축적되는 성질을 이용하는 새로운 암치료법으로 광과민성 물질을 정맥 주사한 후 암세포에 축적되면 약 48시간 후 암세포에 내시경이나 Guid wire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쪼이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되는 치료법이다.
2. 광역동치료 과정
1) 직사광선을 차단한 병실로 입실한다.
2) 광과민성 물질을 정맥주사 한다.
3) 48-72시간 동안 직사광선이 차단된 병실에서 생활한다.
-> 형광등, 컴퓨터 모니터, TV 등이 빛은 괜찮다.
4) 48-72시간 후 내시경을 통해 레이저를 쪼인다.
3. 광역동 치료의 장점
1) 최첨단 비수술적 암 치료방법이다.
2) 정상조적의 손상 없이 암세포만 괴사 시켜 장기 보존이 가능하고, 임신, 수유기능 유지가 가능하다.
3) 기존 암치료 방법의 적용이 어려운 환자에게 적용 가능하다.
4) 심각한 부작용 없이 반복 시술이 가능하다.
5) 기존 암치료법과 병행이 가능하다.
4. 광역동 치료의 부작용
1) 화상
2) 색소침착
3) 광과민 반응
4) 간기능 이상
5) 치료부위의 출혈, 통증
5. 광역동 치료 후 주의사항
1) 치료 후 4-6주 동안 햇빛이 있는 낮 시간 동안 외출을 삼가야 하고 부득이하게 외출을 하는 경우 챙이 넓은 모자와 선글라스를 쓰고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흰옷을 입고 노출된 피부(얼굴, 목, 손, 팔등) 에는 자외선 차단 크림을 바른다.
2) 실내에서도 부분 조명을 취한다.
3) 레이저 투여 1개월 후 손가락, 손등부위를 직사광선에 5분간 노출시켜 보고 홍반, 수포 등 광과민 반응이 나타날 경우 다시 2주간 직사광선을 피해야 한다.
6. 광역동 치료 후
1) 96-120시간 후 검사하여 남아있는 종양 조직이 있는 경우 부드러운 괴사 조직을 제거한 후 두 번째 조사를 할 수 있다.
2) 치료 후 정지적인 내시경 검사와 조직검사를 시행한다.
7. PDT 검사 전 간호
1) MN NPO 교육
2) 시술 당일 담요로 머리부터 발 끝까지 모두 가리고 검사실로 이동한다.
3) Rt.arm 20G IV fluid+ 3-way 유지한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강경 담낭 절제술 적응증, 과정, 수술후 합병증 (2) | 2023.05.14 |
---|---|
중심 정맥관의 종류와 간호 (2) | 2023.05.09 |
간생검 Liver biopsy 방법, 간호 (0) | 2023.04.04 |
식도 정맥류 간호와 식도 정맥류 결찰술 EVL (0) | 2023.04.03 |
간성뇌증 Hepatic Encephalopathy 증상 치료 간호 (0) | 2023.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