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A형 간염, B형 간염 감염경로, 증상, 관리, 치료, 간호

반응형


안뇽하세요
간경변,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는
간염에 대해 공부해보아요~!

간염은 ABCDE형이 있는데
가장 흔한 A형 간염과 B형 간염에 대해
정리했어요~ ~!




A형 간염
정의:
A형 간염 바이러스로 감염되는 간의 염증,
급성 간염만 일으킴 1. 감염 원인
1) 대변 속의 균이 손과 입을 통해 감염. 불결한 위생과 오염된 음식이 원인. (경구감염, 환자의 대변, 오염된 음식)

2) 위생상태가 낮은 저개발국의 경우 소아 시기에 A형 간염에 노출되어 가볍게 앓고 자연면역이 형성됨 3) 위생상태가 개선될수록 노출 기회가 줄어들어서 면역 형성 기회도 없었던 성인들에게 감염될 확률 증가
2. 증상
1) 감염 후 2-6주는 잠복기로 증상이 없음. 2) 이 후 2-3일간 전신피료, 식욕부진 등이 나타나 대부분 감기에 걸렸다고 생각함. 3) 오한, 발열, 설사, 구토, 복통 증 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대략 1주 가량 지속됨.

4) 증상이 완활되면서 전신과 눈에 황달이 나타나고 2-6주간 지속되며 이 때부터는 점차 전파력이 떨어짐
   3. 치료
1) 안정, 식이요법 2) 안정을 통해 간으로 가능 혈액의 양을 증가시켜 회복을 도와줌

3) 구토가 심하여 식욕이 없을 때는 양질의 탄수화물 중심으로 고칼롤 식이. 이후 식욕이 돌아오면 간의 회복을 도와주는 고단백식이를 함. 4) 급성의 경우 처방에 따라 격리치료
4. 예방법
1) 오염된 음식과 대변으로 전파되는 질병이므로 손씻기가 중요. 요리하기 전, 식사하기 전, 화장실 사용 후, 외출 후 손씻기 시행 2) A형 간염이 유행하는 지역을 여행할 때는 생수나 덜 익힌 음식은 피하기
5. 예방법
1) 만 2세 이상의 어린이에서 2회의 근육주사로 맞음 2) 2차는 6-12개월 후에 접종 3) 예방접종 당일에는 목욕을 하지 않음.

4) 부작용이 생기면 다시 병원에 가야하므로 가급적 오전에 주사를 맞는 것이 좋음. 5) 아이가 질병이 있어 치료중이거나 알레르기 증세가 있는 경우에는 미리 의사에게 말하고 상담 받기
6. 가족들도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
가족들도 검사를 받고, 아직 걸리지 않았다면 식기 및 수건들을 구분해서 사용하고 손씻기를 철저히 한다.

https://youtu.be/1fHgFuOe3Es




B형 간염

1. 정의
1) B형 바이러스로 감염되는 간의 염증 2) 질병 기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나뉨

3) 급성은 발병 후 병의 경과가 6개월 이내 회복되고 만성은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


2. 감염경로
1) 수혈(혈액 및 혈액제제), 산모에서 신생아로 수직감염, 오염된 주사바늘이나 침, 장기이식, 감염된 소아에서 소아로 감염, 성 접촉 2) 주로 혈액과 체액에 의해 전파되는 질환 3) 바이러스 보유자인 산모가 낳은 싱생아게에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은 경우, 혈액투석이나 바이러스에 오염된 피에 의해 수혈로 감염되는 경우, 비위생적 기구를 사용한 문신, 침, 피어싱으로 감염되는 경우, 감염된 환자와의 성적 접촉, 면도기, 칫솔 등을 같이 사용한 경우 4) 컵, 음식물을 통해서는 감염되지 않음.
3. 증상
1) 만성 B형 간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전신 쇠약감과 피로감

2) 무력감, 식욕부진, 소화불량, 두통 3) 상복부 중앙이나 우측이 뻐근히 불편하거나 아플 수도 있음. 4) 상태가 악화될 때까지 자각증상이 전혀 없을 수도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

5) B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는 만성 간염, 간경변, 간암으로 진행 될 수 있으므로 추적 검사가 필요
4. 병태생리
1) 황달
정의: 빌리루빈 대사에 이상이 생겨 혈장 내 빌리루빈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나 피부, 공막, 심부조직이 황색으로 착색된 상태, 혈청 내 빌리루빈이 2.5mg/dL이상인 경우

2) 출혈 위험성
-손상된 간이 담즙을 만들지 못해 지용성 비타민 (A,D,E,K)을 흡수하지 못함.
-Vit K는 Prothrombin과 응고인자 합성에 필수적이므로 출혈성 경향을 보임.

3) 조혈작용의 변화
- 골수의 조혈기능 장애-> 적혈구 생성에 변화->빈혈
- 문맥 고혈압 변화->비장비대, 비장이 기능을 못함->혈소판 수, 백혈구 감소, 빈혈->감염 취약, 빈혈

4) 내분비 및 대사기능 변화
- 부신 필질, 난소, 고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대사 변화->생리불순, 여성형 유방, 거미 혈관종
-간성 신부전
-간의 methionine 대사장애-> 간성 악취, 단맛이 나고 곰팡이 냄새가 나는 호흡
- 신장을 통해 다량의 urobilirubin을 배설-> 소변색 짙어짐
-손상된 간이 빌리루빈 담즙을 통해 분비시키지 못함-> 담즙 감소-> 회백색대변

5) 지속적인 간 손상
-문맥압 상승으로 문맥성고혈압-> 위장계 정맥류(식도 정맥류), 위궤양, 위염, 비장비대, 복수, 호흡곤란

6) B형 간염의 항원-항체 검사
-HBsAg(+) : 전에 B형 간염에 걸렸거나 회복되는 상태, 계속되는 만성 간염 또는 보균 상태
-HBeAg(+) : 활동성 간염 상태로 바이로스의 복제가 활발한 상태, 전염력 강함, 급성기
-Anti-HBe 또는 HBeAb(+) :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으나 전염력 낮음
-HBsAg(-), Anti-HBs 또는 HBsAb(+) : B형 간염 항체가 형성된 사람, B형 간염에 감염된 후 치유되었거나 예방주사에 의해 면역력 있음을 의미
-HBsAg(-), Anti-HBs 또는 HBsAb(-) : 면역력 없음, 예방접종 필요

*** Anti-HBe = HBeAb,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항체가 있다는 의미
*** HBsAg는 먼성적으로 재발, HBeAg는 급성 감염기
5. 진단
-혈액 검사 : ALT(SGPT), AST(SGOT) 수치 상승, 프로트롬빈 시간 지연(출혈 위험성 증가), 혈청 빌리루빈 수치 증가-> 황달, 소양증
-초음파 검사
-간염 바이러스 검사
-간생검
-CT
-MRI


6. 치료
1) 치료 목표는 만성 B형 간염 단계에서 염증을 완화시켜 간경변, 원발성 간암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
2)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는 라미부딘, 아데포비어, 엔테카비어와 면역을 증강시켜 바이러스를 제거하도록 하는 인터페론 등 약제들로 치료가 가능
3) 진토제:오심, 구토 조절
4) 비경구적 Vit K 투여 : 응고인자 생성에 도움

7. 관리
1) 알코올은 간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어 간경변과 간암 발생률을 높이고 생존기간을 단축시키므로 금지 2) 특별히 간에 좋은 음식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므로 골고루 섭취하는 것과 싱겁게 먹는 것이 중요

3) 운동은 몸 상태에 맞는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바람직함. 4) 건강 보조식품을 포함한 많은 약들이 간독성이 있으므로 약 사용 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 복용 5) 주기적 검사에 의해 상태 변화를 관찰하고 제때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 6) 저지방, 고탄수화물, 적정 단백식이 자주 소량씩 섭취, 염분제한
-> 간에서 지방의 소화를 돕는 담즙을 생성하므로 간의 휴식을 위함, 식욕부진, 오심으로 많이 먹기 어려움 7) 출혈 조절
-PT 지연되는 경우 Vit K보충
-침습적 시술 피하기, 날카로운 물건 사용 금지 8) 전염 예방
-콘돔사용, 주사바늘, 식사도구, 칫솔 함께 쓰지 않기
-접촉 시 가능한 한 빨리 면역 글로불린을 주사
(B형 간염인 경우 B형 간염 면역글로불린을 주사하고 연속적으로 간염 백신을 주사)

9) 소양증 관리
-항히스타민제, 진정제
- 알칼리 비누 사용 제한, 로션 바르기, 미온수 목욕
-잦은 체위변셩
-손톱 짧게 깎아 피부 손상 예방


https://youtu.be/Yqapn2-Dmx0


~끝~ 도움이 되셨나용


다음주에 또 같이 공부해봐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