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RFA 고주파 열치료법, TACE 간암 화학색전술 비교, 간호방법

반응형


안뇽하세요~!
오늘은 소화기 내과 병동에서 많이 시행하는 RFA와 TACE에 대해 공부를 해볼게요~!




RFA(Radiofrequency ablation) 고주파 열치료법
: 간 종양에 고주파 열을 발생시켜 암조직을 태우는 치료법

TACE(Trans arterial Chemo embolization) 간암 화학색전술
: 간 종양에 영양을 공급하는 동맥을 찾아 항암제를 투여한 다음 혈관을 막는 치료법

종양의 크기, 개수 등을 고려하여 치료 방법을 정하는데,
크기가 작고 개수가 적으면 합병증이 더 적은 RFA를 시행합니다~!



RFA

1. 정의
-피부를 통해 종양 속으로 바늘을 삽입한 후 전류를 통하게 하여 열에 의해 간종양의 괴사를 유도하는 치료법
-초음파 영상을 보면서 바늘을 약 100'C까지 올려 괴사시킴
- 간암 세포만 괴사시키므로 간의 손상이 적음
- 종양이 크거나 개수가 많으면 시술 불가능

2. 시술 방법
1) 시술 부위 소독과 국소 마취
2) 안정을 유도하는 약물을 투여하여 의식이 있는 안정 상태에서 시행
3) 기기에 따라 10-20분 정도 소요됨

3. 합병증 및 주의사항
1) 출혈
-출혈 방지 위해 3시간 동안 시술 부위에 모래주머니를 대고 침상안정
-복부에 멍이 들거나 혈압이 떨어지는 등 출혈 증상을 관찰
-출혈과 감염 등을 사정하기 위해 혈압, 맥박, 호흡수, 체온 등을 자주 측정
2) 통증
통증 조절을 위해 시술 전 후 진통제 투야
3) 열
고열이 발생할 경우 해열제고 증상을 완화

4. 시술 후 관리
1) 처방에 따라 시술 후 식사 가능, 환자 상태에 따라 금식 지속 할 수도 있음
2) 상처 부위는 하루 뒤 소독 한차례 진행
3) 필요시 출혈이나, 감염, 간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혈액검사 추가 진행
4) 치료적 평가를 위해 CT나 MRI 추적 검사

<영상자료>
https://youtu.be/nrllu1ye9So




TACE

1. 정의
- 정상 간 조직은 주로 문맥에서, 종양 조직은 주로 간동맥에서 혈액을 공급받음.
-가장 효과적인 비수술적 치료법으로 대퇴 동맥을 통하여 대동맥에 관을 집어넣은 후 간동맥을 찾아 들어가 종양에 영양을 공급하는 동맥에 색전 물질을 주입하여 혈류를 차단하는 치료법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시술이 가능함.
-전신적인 항암 화학요법보다 부작용이 적다.
-전이성 종양에서는 종양의 크기와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신 항암 화학요법을 수행한다.

2. 시술 전 준비사항
1) 오전에 시술하는 경우 전날 자정부터, 오후시술은 아침 식후 금식
(필요시 혈압약은 아침 일찍 물 소량과 함께 복용 가능)
2) 시술 전 조영제 부작용 방지를 위해 항히스타민제, 진통제 투약 후 시술

3. 시술방법
1) 사타구니에 위치한 혈관에서 대동맥을 통해 종양으로 가능 혈관을 찾아 약제를 주입
2) 시술은 보통 1-2시간 소요되며 경우에 따라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음.

4. 시술 시 주의사항
1) 출혈 예방을 위해 4-8시간 동안 시술한 쪽 다리를 편 채 모래주머니를 올려놓고 침상안정
2) 발열, 통증(종양의 괴사로 인한 우상복부 통증), 오심 등이 있을 수 있어 시술 후 해열 진통제 및 오심 방지제를 예방적으로 투여, 시술 후 식사 가능
3) 감염 예방을 위해 시술 다음날 시술부위 소독 시행

5. 경과/합병증
-드물게 간기능 저하, 폐동맥 색전증, 패혈증 등이 생길 수 있음. 합병증 예방을 위해 시술 전 혈액검사를 시행.
- 시술 당일 또는 2주 후에 CT 검사를 통해 1차로 효과를 확인, 이후 1-4개월 후 CT 검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치료 효과를 확인.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 대부분 1-4 개월 간격으로 반복 시술 시행.
6. 시술 전 간호
1) 환자에게 시술의 목적, 방법 설명
2) 금식 교육
3) IV 확보(20G 이상) -> 조영제 투여 및 응급 시 수혈 위함
4) 양쪽 발등맥박(Dosalis pedis pulse) 확인 후 펜으로 표시 -> sand bag 지혈 시 혈류 잘 통하는지 확인 위함

7. 시술 후 간호
1) 도관 삽입부위를 sand bag 압박된 상태로 4-8시간 절대 침상안정 설명
2) 활력징후 측정
3) 발등 맥박 확인, 말초부위 피부색, 온도변화, 도관이 삽입되었던 부위의 출혈 및 종착 관찰
4) 복통, 복부 팽만감, 복수의 일시적 증사, 호흡곤란, 열, 오심, 구토 등의 증상 확인
5) 식이 섭취 가능 시 조영제 배출을 위해 수분섭취 격려

<영상자료>
https://youtu.be/v0kJ0AkGTo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