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췌장염 담석 담도결석 증상 간호 및 ERCP

반응형


안녕하세요~!
췌장염 담석 담도결석의 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진단 및 치료에 사용되는 ERCP에 대해서도 알아보아요~!





췌장염

출처:대한췌장담도학회

1. 췌장
위장 뒤에 위치하고 십이지장과 연결되어 있는 장기이다. 내분비 호르몬을 내보내고 소화 효소를 만들어 낸다

2. 췌장염
췌장 효소에 의한 자가 소화를 췌장염이라고 표현한다. 소화 효소가 췌장 안에서 췌장 조직을 소화시켜 췌장의 부종, 출혈, 괴사를 일으키는 것이 췌장염이다.

3. 췌장염의 원인
1) 알코올 40%
2) 원인불명 25%
3) 담석 20%
그 밖에도 수술 후 합병증, 약물, 췌장암 등이 있다.

4. 급성 췌장염 증상
복부 압통, 등, 죄측 옆구리 쪽으로의 방사통, 오심, 구토, 고열, 호흡곤란, 신경증, 복부의 피하 출혈, 쇼크
복통은 보통 음식 섭취에 의해 악화된다.

5. 췌장염 진단
혈액검사(췌장 소화효소:아밀라제, 리파제 등), 초음파, CT, ERCP 등

6. 췌장염의 치료
치료적 금식을 한다. 식사를 하면 소화 효소를 만들기 위해 췌장이 자극되기 때문이다.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진통제를 투약한다. 호흡하기 힘든 경우에는 산소 치료를 한다.

*만성 췌장염
급성 췌장염일 때 치료를 하지 않거나 치료 후 관리가 소홀하면 만성 췌장염으로 진행된다. 폭음, 폭식, 과로, 스트레스로 인해 복통발작이 반복되며 췌장 기능이 떨어진다. 더 이상 소화효소를 만들 수 없는 상태에 이르면 통증은 없지만 소화 흡수 불량과 당뇨병이 나타난다.

7. 췌장염 예방
금주를 한다. 만성 췌장염의 60%는 음주가 주요 원인이다. 지방제한, 여러 번에 걸친 소량의 식사, 카페인을 함유한 음료 제한 등이 있다.

8.간호진단

급성통증, 체액부족의 위험, 영양부족, 불안정한 혈당수치 위험, 지식부족

https://youtu.be/3eBhUzPNr2M




담석증, 담도결석

출처:ClipartKorea

1. 담석
담즙은 간에서 만들고 담낭에서 농축되어 있다가 십이지장에서 음식을 소화시킨다. 담석은 담즙의 구성 성분들이 돌 같이 굳어져 담낭, 담관 등에 정체하는 질환이다.

2. 담석의 원인
높은 콜레스테롤, 비만, 고지혈증, 당뇨, 경구피임약 복용, 임신, 담낭 운동성 저하, 염증에 의한 조직손상으로 담즙 성분 변화, 간경변, 췌장염에 의해 발생한다.

3. 담석 고위험군
여성, 다산, 중년(40세이상), 폭식, 과도한 스트레스 받는 사람

4. 담석의 증상
약 80%에서 무증상이다.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발열, 오심, 구토, 소화불량, 복부 팽만감이 있을 수 있다. 명치부위 또는 우상복부 통증(찌르는 듯한, 둔한, 날카로운), 때로는 어때나 등 쪽으로 퍼지는 듯한 통증이 있을 수 있다. 담석이 담관으로의 담즙 배출을 막으면 담낭 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담낭이 늘어나 통증이 발생한다. 담석이 담도에 있는 경우 담즙이 배출되지 못하여 황달이 생긴다.

5. 담석의 진단
복부 초음파, 복부 CT, 초음파 내시경이나 MRI로 진단한다. ERCP를 통해 담석을 정확히 진단하고 배액술을 통해 치료도 동시에 시행할 수 있다.

6. 담석의 치료
1) 담관 폐색이 없는 작은 담석의 경우에는 담석을 용해시키기 위한 약을 복용한다.
2) 통증, 오심, 구토, 속 쓰림 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대증적 치료를 한다.
3) 합병증 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투약한다.
4)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맞추기 위해 수액을 주입한다.
5) ERCP로 담석을 제거한다.
6) 수술로 담낭을 절제한다.
7) 담관에 담즌 찌꺼기가 있는 경우 코로 통하는 관을 삽입하여 일시적으로 담즙을 배액시키는 치료를 한다.

7. 치료 후 관리
1) 기름진 음식, 과식을 하지 않는다.
2) 적절한 운동을 통해 체중을 조절하면 담석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https://youtu.be/uWoYkvHljwA




ERCP 내시경적 역행석 췌담관 조영술 (Endoscopic Retrograde ChoangioPancreatography)

출처:대한췌장담도학회

1.ERCP란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은 수면 내시경과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로, 내시경을 십이지장까지 삽입하고 십이지장 유두부를 통해 담관 및 췌관에 조영제를 주입시켜 담관 및 췌관의 병변을 관찰하는 검사이다. 간외 담관의 협착, 담도질환, 췌장질환의 확인 및 담석 제거가 가능하다.

2. 시술의 적응증
1) 급성담관염->주로 담석이 원인이므로 담석을 제거함.
2) 췌장암, 담도암, 유두부암->담관이 막린 경우, 담관에 스텐트를 삽입함.
3) 복부 수술과정 중 발생한 담관의 손상
4) 담관, 췌관의 선천성 기형

3. 검사 전 준비사항
1) 검사 당일 자정부터 금식
2) 의사의 처방에 따라 당일 아침 물 소량과 함께 혈압약 복용이 가능하다.

4. 검사 과정
1) 옆으로 누워서 정맥주사를 통해 진정제를 투약한다.
2) 구강을 통해 십이지장 내시경이 식도, 위, 십이지장으로 삽입된다.
3) 조영제를 투야한 후 X-ray를 찍는다.
4) 조영술 결과 결석이 발견된 경우 특수 기구를 이용하여 결석을 제거하며, 종양 등으로 인해 담관이 좁아진 경우 조직검사를 시행하거나 스텐트를 넣어 좁아진 담관, 췌관 등을 넓혀준다
5) 필요한 경우 담관에 삽입한 배액관을 위, 식도 및 비강을 통해 체외로 빼내어 지속적으로 담즙 배액을 한다.

5. 검사 후 주의사항
1) 일시적으로 담즙 배액을 위해 배액관이 코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2) 검사 후 의사처방에 따라 금식하거나 물만 소량 섭취한다.
2) 오심, 구토, 복부 통증, 출혈(검은변), 어지러움증 등이 발생하면 의료진에게 알린다.

https://youtu.be/CCS7fNTARpw




참고자료) http://www.snuh.org/

서울대학교병원 메인 홈페이지

www.snuh.or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