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PTBD, PTGBD 관리법과 간호

반응형


안녕하세요~!
간호사 밍자입니당

오늘은 PTBD, PTGBD와
관리방법에 대해 알아보아요~!




PTBD 경피경간담관배액술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출처:https://tv.naver.com/snuh


1. PTBD란
체외로 담즙이 빠지도록 간 내의 담도에 체외로 연결되는 배액관을 만들어주는 시술

시술 후에는 감염예방을 위해 주기적으로 소독해야 하며, 관을 계속 유지하는 경우에는 최소 3개월에 한 번씩 교체해야한다.

-PTGBD(Percutaneous Transhepatic Gallbladder Drainage)는 담도가 아니라 담낭에 배액관을 넣는 시술이다.
2. 시술목적
간, 담도에 결석이나 종양으로 담즙 배액에 문제가 생기면 황달, 소양감, 고빌리루빈 혈증, 패혈증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원활한 담즙 배액을 위함이다.
수술 전 감압 목적, 간농양의 경우에도 시술한다.

3. 검사 전 준비사항
1) 전날 자정부터 금식한다.
2) 시술 전 필요시 진정제와 진통제를 투약한다.

4. 검사과정
1) 천자부위를 소독한다.(오른쪽 혹은 배의 위쪽)
2) 국소 마취 후 영상을 보면서 천자바늘로 천자 루 배액관을 넣는다.
3) 조영제를 이용하여 담즙배액이 잘 되는지 확인하고 배액관을 피부에 고정한다.
4) 감염예방을 위해 소독 후 거즈로 덮는다.

5. 배액관 관리법 및 관리 필요성
경피경간담관배액관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담즙 찌꺼기에 의해 배액관의 내경이 막혀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감염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삽입부위를 깨끗이 유지하고 배액관이 막히거나 빠지지 않도록 주기적인 세척과 소독이 필요하다. 1) 배액관은 꼬이지 않게 가지런히 정리하여 중력방향을 유지한다.
2) 담즙은 점도가 높아 정체되면 막힐 수 있어 하루에 2-3번 생리식염수로 세척한다.
3) 세척을 하면서 관이 제자리에 있는지,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4) 시술부위 감염예방을 위해 매일 거즈를 교환하고 발적 및 부종을 관찰한다. 5) 준비물
소독 준비물 : 포비돈, 비닐장갑, 메딕스, 반창고
세척 준비물: 생리식염수, 멸균 10cc 주사기, 반창고, 3-way, 포비돈 스틱
주머니 교환 준비물: 담즙 주머니, 포비돈 스틱, 비닐장갑, 반창고, 3-way 6) 소독방법
(1) 준비물을 준비하고 손위생을 한다.
(2) 배액관 삽입부위에 부착된 메딕스를 제거한다.
(3) 비닐장갑 착용후 포비돈 스틱으로 배액관의 삽입부위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동심원 모양으로 닦는다.
(4) 포비돈이 완전히 마르면 메딕스를 붙인다.
(5) 배액관을 반창고로 고정한다.

<PTBD 소독 참고영상>
https://youtu.be/6rZG-obJIF4


7) 세척방법
(1) 준비물을 준비하고 손위생을 한다.
(2) 생리식염수를 10cc 주사기에 10cc 재어 놓는다.
(3) 비닐장갑 착용 후 세척부위의 뚜껑을 연다. 포비돈 스틱으로 세척부위를 소독한다.
(4) 10cc 주사기의 바늘을 제거하고 주사기를 세척부위에 끼운다. 생리 식염수 10cc를 천천히 주입한다.
(5) 3-way를 다시 담즙이 배액될 수 있도록 열어준다.

<PTBD 세척 참고영상>
3-way 조절에 대한 설명도 있으니 영상 시청 추천드려용~!

https://youtu.be/UsJWRK8VkJo



8) 주머니 교체방법
(1) 새로 연결할 담즙 주머니를 개봉한다.
(2) 기존의 담즙 주머니 연결부위의 반창고를 제거하고 비닐장갑을 착용한다.
(3) 헌 담즙주머니를 제거하고 새로운 담즙주머니를 연결한다.
(4) 새 담즙부머니의 연결부위를 반창고로 고정한다.

-<배액주머니 비우기 참고영상>
https://youtu.be/ruR7Pbrkh5c


6. 합병증
1) 감염으로 인한 발열 가능성이 있어 항생제를 투약한다.
2) 통증 있을 수 있어 시술 전 진통제를 맞는다.
3) 간혹 시술부위로 출혈이 있을 수 있다.
4) 출혈 및 배액관 위치 확인을 위해 시술 후 X-ray 검사를 한다.
5) 담즙이 새어나와 거즈가 젖으면 즉시 의료진에게 알린다.
6) 담즙이 복강 내로 새는 경우 담즙성 복막염, 드물게 패혈증이 발생할 수 있다.

7. PTBD, PTGBD 간호
1) 담즙 주머니가 삽입부위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환자교육
2) 담즙 양상 확인 후 너무 양이 줄거나 bloody하게 나올 경우 notify
3) 진통제 투약하여 통증 조절
4) OT/PT 확인


같이 보면 좋을 영상
https://youtu.be/edRYmJue_Pg


참고자료) http://www.snuh.org/

서울대학교병원 메인 홈페이지

www.snuh.or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