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병동에서 가끔 시행하는 요추천자에 대해 공부해보아요~!
자주하는 검사는 아니지만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 거예요~!


요추천자 Lumber puncture
뇌척수신경계 질환의 진단을 위해 뇌척수액을 채취하거나 그곳에 약을 투여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법이나 처치법이다.
지주막하강으로 바늘을 삽입해 뇌척수액을 수집하고, 양상, 뇌척수압 측정, 감염을 확인한다.

진단목적
1) 뇌척수압 측정
2) 뇌척수액의 검사물을 얻기 위함
3) 뇌척수액의 순환상태를 보기 위한 척수액 역동 검사(Queckenstedt's 검사)
4) 뇌와 척수관의 X-ray 촬영을 위한 공기, 산소, 조영제를 넣기 위함
-진단질병
세균성 뇌수막염,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그 외 뇌수막염, 뇌염, 뇌사르코이드증, 지주막하 출혈, 원인 불명의 뇌압상승, 뇌압 감소로 인한 두통, 다발성 경화증, 길랑 바레 증후군
치료목적
1) 지주 막 하강으로부터 혈액과 농양 제거
2) 화학 요법제, 항생제 주입
3) 뇌압 하강을 위해 CSF 제거
4) 척추마취
요추천자 금기
-뇌척수액의 급격한 제거로 인해 뇌구조가 대후두공으로 탈출되어 연수의 생명 중추에 압박을 주어 갑작스런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두개내압 상승 환자, 유두부종 대상자, 뇌종양 의심 시
-협조 불가능한 환자
-천자부위에 국소 감염이 있는 경우
요추천자 검사 방법

1) 환자는 측 와위를 한 뒤 무릎을 배 쪽으로 당겨서 허리가 최대한 굽어지도록 자세를 잡는다. (새우등 자세)
이는 척추 사이를 벌어지게 하여 바늘이 척추 뼈 사이로 잘 들어가게 하기 위함이다.
천자부위 :
L3~L4 또는 L4~L5 척수신경이 L1~2까지 내려와 있으므로 신경 손상을 줄이기 위함
2) 정확한 검사를 위해 정맥 마취제 혹은 신경 안정제, 국소 마취제를 사용하여 요추 4-5 사이의 경막을 바늘로 뚫어서 뇌척수액을 받아낸다.
3) 뇌압을 측정하고 검사를 위해 튜브에 척수액을 받는다.
4) 바늘을 제거하고 소독 후 거즈를 붙인다.
5) 검사 후 베개를 베지 않고 누운 자세로 4-6시간 정도 휴식한다.
Quekenstedt's 검사: 척수액 역동 검사
-척수관 내 뇌척수액 순환, 지주막하강 내 뇌순환 폐색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검사방법
1) 원래의 뇌척수압을 측정하고 심호흡 후 호흡을 멈추고 복부에 힘을 주어 복압을 상승시킨 상태로 10초 동안 참고 이완 시킨 후 5초 간격으로 압력을 측정한다.
2) 안정된 상태에서 다시 양 경정맥을 10초 동안 누른 다음 뗀다.
-검사결과
정상: 뇌척수압이 10초 내에 약 100mmH20 정도 상승, 압박 제거 시 10초 이내 정상으로 돌아옴.
비정상:뇌척수액 압력이 상승하지 않으면 척추관 내의 완전 폐색 의미, 압력이 서서히 상승하거나 서서히 하강하면 뇌척수액 순환의 부분적 폐색
요추천자 검사 결과 정상 범위
뇌척수압 :60-180mmH20 (5~15mmHg)
상승한 경우: 뇌내 출혈, 종양, 뇌압상승,부종 감소한 경우: 척수 폐쇄
비중:1.007
성상:무색, 투명
혼탁한 경우: 감염
단백질:15~45mg/dL
50~500mg/dL:바이러스 감염, 500mg/dL 이상인 경우: 세균감염, 길랑바레증후군
당:포도당 50-80mg/dL
증가:고혈당증, 감소:뇌종양, 감염, 백혈병
백혈구: 0~8/ul
증가: 뇌막염, 급성감염, 만성 질환의 시작, 종양, 농양, 경색, 수초탈락성 질환
적혈구: 미검출
검출: 뇌출혈
요추천자 후 주의사항
1) 요추 천자 시 환자의 협조가 미흡할 경우 합병증의 빈도가 높아지며, 이때는 마취제를 사용할 수 있다.
2) 요추천자 후 최소 6시간은 앙와위로 안정을 취해야 두통이 발생하지 않으며 최소 하루 동안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뇌척수액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베개 없이 평평한 곳이 누워 머리를 들지 않고 안정을 취한다.
3) 거즈는 요추천자 다음날 제거한다.
4) 샤워는 요추검사 다음날부터 가능하다.
5) 목의 강직, 요추하부나 다리경련, 불안정한 호흡이 나타나거나 두통 지속 시 간호사에게 알린다.
두통은 뇌척수액 누수로 인해 전체 뇌압을 납추고, 뇌 근처 곳곳에 있는 통증 감지 기관을 자극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검사자의 11-25%에서 두통이 발생하며 48시간 이내에 발생하여 길게는 12일간 지속될 수 있다. 통증은 앉거나 서 있을 때 심해지며 수평으로 누울 때 감소되므로 검사 후 절대 침상안정이 필요하다.
두통은 대개 침상안정, 진통제, 수액요법으로 완화된다.
6) 누출된 뇌척수액을 보충하기 위해 수액 공급과 금기증이 없다면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요추검사 합병증
국소적 요통, 시술도중 일시적인 감각이상, 두통, 출혈, 감염 등
물품 준비
Tapping Set, Manometer, glove, 3-way, Tapping needle, 포타딘, 알콜, 거즈, 10cc syringe, 1cc needle, 2% 리도카인, T-tube, 메딕스
요추천자 전 간호중재
1) 시술 전 대상자에게 절차에 대해 설명, 동의서 확인
2) 활력징후 측정, 필요시 처방에 따라 진정제 투약
3) 배뇨하게 하고 바늘 삽입 시 움직이지 않도록 교육
4) 옆으로 누워 다리를 구부려 복부에 놓고 머리를 아래로 기울임 (새우자세, 척추 간격 넓힘)
5) 병원 지침에 따라 IV line 확보
:요추천자 시 CSF 압력이 높은 경우 중재를 위해 MAnnitol을 투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요추천자 후 간호중재
1)활력징후 측정
2)소독 부위 oozing, 통증 사정
3) CSF 양상, 양, 뇌척수압 등 사정 후 간호기록, 병원 지침에 따라 통증, 낙상, 욕창, 중증도 재평가
-간호기록: 요추천자 시술 설명 후 동의서 받음. by.Dr(). pressure ()mmHg, clear or turbid, bloody or yellowish 확인됨.
4) 검사 후 척수성 두통 감소 위해 4-6시간 동안 침상에 반듯한 자세로 누워있기(머리들지 않기), 두통 여부 사정하고 필요 시 진통제 투여
5) 뇌척수액 보충 위해 수분섭취 권장
6) 뇌척수액 누출 여부 사정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 환자 간호, 알버티 요법 (0) | 2023.07.25 |
---|---|
의학용어 CAG, PCI 방법, 간호 (0) | 2023.06.15 |
고칼륨혈증의 원인과 치료(인슐린, 관장, 벤톨린) (0) | 2023.05.26 |
의학용어 PCD의 종류, Chest tube와의 차이점, PCD 관리법 (1) | 2023.05.15 |
복강경 담낭 절제술 적응증, 과정, 수술후 합병증 (2) | 2023.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