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의학용어 PCD가 무엇인지 공부해보아요!!


PCD 경피적 카테터 배액 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종류
3가지 종류가 있다. 적응증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1) Chest PCD
적응증: Plural effusion 흉수, Empyema 농흉, Pneumothorax 기흉
여러 원인에 의해 장막 흉막과 벽측 흉막 사이에 물이나 피가 고였을 때 흉관을 삽입하여 체외로 배액하기 위함이다.
2) Abdomen PCD
적응증: Ascites 복수
3) 위치에 따른 PCD
적응증 : 농양 있는 경우
Percutaneous abscess drainage 경피적 농양 배액술

간농양 Liver abcess 내의 drain tube 삽입이나 기타 수술 후의 fluid collection 등 Non vascular에 이용되는 모든 튜브 배액을 PCD 라고 한다.
항생제로도 농양의 치료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 PCD를 시행한다.
한 번의 PCD 삽입으로 고름이 잘 빠져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시술 당시에 농양 내부에 일부만 고름의 형태이고 일부는 염증만 있었다면 이후에 반복적인 시술이 필요할 수 있다.
농양이 여러 곳에 있는 경우에도 여러번의 배농이 필요할 수 있다.
***궁금했던 점!
Chest PCD 와 Chest tube 의 차이점
Chest PCD Catheter는 12~14Fr, Chest Tube는 24~40Fr의 크기를 사용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PCD가 Chest tube에 비해 구경이 작다.
PCD가 흉관의 접근이 어려운 부위에 더 넣기 용이하고, 통증이 덜 하고 성공률이 높다. 또한 혈휼, 장기손상, 횡격막 파열 등의 합병증이 더 낮아 PCD를 주로 사용한다.
하지만 막히기 쉽고, 끈적한 양상의 삼출물 배액에서는 PCD가 잘 막힐 수 있기 때문에 Chest tube를 사용한다.

PCD 삽입 후 간호
1) 활력징후 특정, 통증 사정
2) 카테터 삽입부위 확인하여 위치와 감염 증상, oozing 있는 지 사정
3) 배액양, 양상 확인하여 bloody할 경우 담당의에게 notify
4) 소독 날짜에 맞춰 소독 챙기기
PCD를 가지고 퇴원하는 경우 관리법
1. PCD 배액관 세척
끈적한 배액물로 인해 배액관이 막힐 수 있으므로 매일 배액관을 세척해야 한다.
-준비물
생리식염수, 멸균 10cc 주사기, 포비돈 스틱, 장갑, 스킨 테이프
-세척 방법
1) 재료를 준비하고 손 위생을 실시한다.
2) 10cc 멸균 주사기에 생리식염수 10cc 정도는 재놓는다. (퇴원전 설명 받은 양만큼 주입)
3) 장갑을 착용하고 3-way 뚜껑을 열어 포비돈 스틱으로 소독한다.
4) 주사바늘을 제거한 시린지를 3-way에 끼우고 생리식염수를 천천히 주입한다. 3-way를 다시 잠근다.
5) 3-way를 다시 열어 시린지로 다시 배액되도록 한다. 이때 억지로 주입액을 잡아당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2. PCD 소독
-준비물
메딕스, 포비돈 스틱, 장갑, 스킨 테이프
1) 재료를 준비하고 손 위생을 실시한다.
2) PCD 삽입부위에 원래 부착되어 있던 메딕스를 제거한다.
3) 장갑 착용하고 포비돈 스틱으로 배액관 삽입부위를 안에서 바깥 쪽으로 닦는다.
4) 소독액이 마르면 메딕스를 붙인다.
5) 배액관을 스킨 테이프로 고정한다.
3. PCD 주머니 교체
-준비물
배액주머니, 포비돈 스틱, 장갑, 스킨 테이프, 3-way
1) 재료를 준비하고 손 위생을 시행한다.
2) 3-way를 돌려서 잠그고 새 배액 주머니를 개봉한다.
3) 장갑 착용 후 기존 배액주머니를 제거하고 새 주머니를 연결한다.
4) 새 주머니 연결부위 위에 스킨 테이프를 붙여 잡아 당겨지지 않도록 한다.
5) 3-way를 열어 놓는다.
4. PCD 삽입 상태에서의 샤워
PCD 삽입부위가 물에 젖으면 감염의 위험이 커지므로 물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PCD 삽입부위 전체를 감싸도록 투명 필름 테이프나 봉투로 물이 들어가지 않게 붙이고 샤워한다.
5. 병원 내원해야 하는 경우
-배액양의 급격한 변화나 색의 변화가 있는 경우
-발열, 통증 지속적일 경우
-배액관이 빠진 경우
-삽입부위에 감염증상 있을 경우
참고하면 좋은 영상
https://youtu.be/7Lm4BONpgI4
출처
Elsayed, A., Alkhalifa, R. (2018). Implication of pigtail catheter vs chest tube drainage.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ty Medicine and Public Health, 5(9).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추천자 간호, 목적, 검사방법, 정상범위 (0) | 2023.06.06 |
---|---|
고칼륨혈증의 원인과 치료(인슐린, 관장, 벤톨린) (0) | 2023.05.26 |
복강경 담낭 절제술 적응증, 과정, 수술후 합병증 (2) | 2023.05.14 |
중심 정맥관의 종류와 간호 (2) | 2023.05.09 |
광역동 암 치료 PDT (0) | 2023.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