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의학용어 CAG, PCI 방법, 간호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CAG, PCI에 대해 공부해보아요~!

시술이나 수술하기 전에 항응고제 복용 유무를 꼭 확인해야하는데,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분들 중 PCI history가 있는 경우가 많아서
공부해봤어요~! 
 
보통 CAG를 하면서 PCI를 하고 온답니다!

 

 

 
심장동맥 조영술, 관상동맥 조영술 CAG (Coronary AterioGraphy)
 
심장동맥(관상동맥)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혈관의 혈태를 X선 촬영하는 검사이다.

관상동맥 조영술을 통해 협심증, 심근경색과 같은 관상동맥 질환을 진단하고 향후 치료를 결정한다.
 
관상동맥은 심장근육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는 심장동맥이다.

검사결과 혈관 협착이 있으면 스텐트 시술을 바로 시행할 수 있다.

 

출처:서울대학교 병원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스텐트 삽입술) PCI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CAG를 하며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인 환자의 관상동맥이 좁아진 부위에 스텐트를 넣어 혈관을 넓혀주는 시술이다.
 
개흉 수술에 비해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심근경색을 빠르게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전신 마취나 피부 절개가 필요하지 않아 회복 기간 및 입원 기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출처:아상병원 일반인 정보
출처:아상병원 일반인 정보

 
 
 
시술 전 주의사항
-안내받은 대로 치료농도를 유지하도록 항응고제를 추가로 복용하거나, 복용을 유지하거나 2-5일정도 중단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메트포르민을 복용하고 있다면 조영제 투여로 인해 콩팥기능에 문제를 일으킬 염려가 있으므로 조영제 사용 24~48시간 전에 약을 끊는다.

-조영제 부작용을 예방하는 주사를 맞는다

-시술 부위(대퇴동맥 또는 요골동맥)를 면도하고, 틀니, 속옷, 악세사리, 화장, 젤네일을 제거한 후 환의만 착용한다.

-검사에 들어가기 전 미리 소변을 본다.

 
시술 전 간호
시술 및 검사를 요골동맥으로 하는지 대퇴동맥으로 하는지 확인한다.

요골동맥으로 할 경우:
오른팔 요골동맥으로 할 경우에는 왼팔에 20G IV 확보한다. 왼팔로 하게 될 수도 있으므로 손목부위는 피한다.

대퇴동맥으로 할 경우:
시술부위 제모, Dosalis Pedis Pulsation 확인, 확인어려울 경우 후경골동맥(PTA, Posterior Tibia artery)로 확인하여 표시해둔다.
 
오전검사
검사 전날 밤 12시부터 물 포함 금식한다.
금식인 경우에도 평소 복용하는 심장, 혈압약은 소량의 물과 함께 복용한다.
당뇨병 환자인 경우 금식 시에는 당뇨병약제(인슐린 포함)를 중단한다.
 
오후 검사
검사 당일 아침식사를 간단히 하고, 평소 복용하는 약물 복용 후 금식한다.
 

 
심장혈관 조영술 검사 방법(CAG)
검사시간 : 약20분-1시간
 
손목(요골동맥)이나 사타구니(대퇴동맥)에 부분마취를 한 후, 가늘고 긴 특수한 플라스틱 도관을 삽입한다.

도관이 심장에 도달 시 조영제를 주입하여 심장혈관을 X-선으로 촬영한다.

검사하는 동안 깨었는 상태이다.

이 검사를 통해 심장혈관 협착여부에 따라 약물치료, 풍선확장술 및 스텐트삽입술, 관동맥 우회술 등의 치료방침을 결정한다.
 

출처:서울대학교병원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PCI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시술 과정
 
검사시간 : 약 1-2시간

관상동맥이 협착된 부위로 유도 철선을 통과시킨 후 작은 풍선으로 막힌 혈관 부위를 확장하고 경우에 따라 스텐트(그물망)을 삽입하여 혈관을 지지해준다.

혈관이 아주 광범위하게 막힌 복한 병변이거나 유도 철선이 병변 부위를 통과할 수 없을 때는 시술이 어려울 수 있다.

 
시술 후 간호
금식이 해제되면 조영제 배출을 돕기 위해 1.5L정도 충분한 물을 마시고 소변을 자주 보도록 설명한다.

가슴 불편감이나 통증, 호흡곤란 등의 증상 발생 시 의료진에게 즉시 알리도록 한다.

PCI 시술 후 다음날부터 샤워 가능, 통목욕은 5일 지난 후 가능하다.

대퇴동맥으로 시술한 경우 :  Dosalis Pedis Pulsation 확인하여 동맥폐색 유무를 확인한다.

 
[식이]
혈관을 수축하고 혈압을 상승할 수 있으므로 금연, 금주한다.

나트륨은 혈압을 높이므로 저염식이를 한다.

지방에 혈관에 붙어 협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저지방식이를 한다.

혈관또는 인대에 칼슘이 침착되어 죽상경화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칼슘섭취를 조절한다.


 
시술 부위가 손목인 경우
3시간 이상 손목을 사용하거나 물건을 잡는 등의 활동은 하지 않는다.
시술부위의 출혈유무를 확인하여 지혈밴드를 제거한다. 
약 3시간 이상 지혈한다.
 
시술 부위가 다리인 경우
시술한 다리는 구부리지 말고 곧게 편 상태로 4-8시간 이상 모래주머니를 올려놓고 절대 안정한다.
절대 안정하는 동안 식사나 대소변 보는 것도 누운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후
혈전(피떡) 생성을 예방하는 약을 계속 복용해야 한다.
시술 받은 후 6-12개월 후 스텐트 재협착 확인을 위해 심장혈관조영술을 시행한다. 
 
 
 
심장혈관 조영술의 합병증
1) 검사혈관부위의 출혈, 혈종, 하지동맥 폐색, 염증 동정맥류 (1%)
2) 부정맥 (1%)
3) 뇌혈관의 출혈이나 혈전 (1%)
4) 심근경색증 (0.2%)
5) 조영제 부작용
과민반응, 피부발진, 호흡곤란 등 반응, 급성 신부전
6) 심장혈관이 찢어지거나 파열되는 경우
2) 심장압전, 심부전, 폐부종 뇌졸중, 색전증, 사망 등(1%)
-> 심근경색증, 심부전 등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응급 심장절개술이 필요할 수 있다.


 
[참고하면 좋을 영상]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1616&docId=6633877&categoryId=67266

심혈관조영술 및 관상동맥 중재술 알아보기

[심혈관조영술 및 관상동맥 중재술 알아보기] ▶ 목차 1. 심장혈관 조영술이란? 2. 검사 절차 및 입원 기간 3. 검사 방법 4. 검사 후 지혈 시간 5. 스텐트 삽입술 6. 스텐트 시술 후 일정 7. 심장혈관

terms.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