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뇽하세요
간호사 밍자입니당
복수천자와 복수천자 후 알부민 투약에 대해
공부해보아요~!


1. 복수란?
-복수는 복강 내의 액체성분으로, 정상적으로는 복강 내에서 복막과 장기들 간의 마찰을 줄여주는 윤활액의 역할을 한다.
복수는 복막 내 림프관을 통해 흡수되어 순환한다.
-복강 안에 필요 이상의 액체가 고이는 것으로, 주로 간 환자에게서 많이 볼 수 있다.

2. 복수의 원인
복수의 85%는 간경변증의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나머지 15% 는 악성종양 등 여러 질환에 의해 발생한다.
간경변증이 진행되면 문맥 고혈압이 발생하여 혈액이 장막 순환계로 쏠리면서 복수가 발생한다. 복수가 혈성된 초기에는 신장에서 염분 저류가 수분 저류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염분 섭취가 많을수록 복수는 더 증가한다. 저알부민혈증과 혈장의 삼투압 감소로 인해 혈장에서 복강으로 수분이 이동한다.
<정리>
1) 문맥성 고혈압으로 혈장과 림프의 정수압 상승으로 림프성 정체가 일어나 복강 내로 수분이 유출된다.
2) 저알부민혈증으로 인한 교질 삼투압 저하로 복강 내 수분의 유입을 일으킨다.
3) 저하된 순환혈량은 고알도스테론증을 야기시켜 콩팥에서 나트륨과 물의 정체를 일으키며, 복강 내 수분 축적을 증가시킨다.
3. 진단
-복부 초음파, 복부 CT
4. 복수의 치료
1) 저염식이, 안정
2) 매일 체중과 복부둘레 측정
3) 상태에 따라 이뇨제 복용
4) 식이와 이뇨제로 복수 조절 안되는 경우, 복수천자 시행
5) 간경변증이 현저히 진행되어 저나트륨 혈증이 심한 경우를 제외하고, 수분 섭취를 제한할 필요 없다.
5. 복수천자 목적
1) 치료적 목적
복강 내의 수분을 제거하여 복강 내압을 낮춘다. 복부 팽만으로 인해 호흡곤란이 있거나, 배꼽 탈장이 심한 경우, 이뇨제나 식이조절로 복수 조절이 어려운 경우에 복수천자를 시행한다.
2) 진단적 목적
복수가 처음 발견된 환자에게서 복강 내 삼출물의 원인을 알고자 체액을 얻어 분석하기 위해 복수천자를 시행한다.
6. 복수천자 방법

1) 복수천자 전 천자 바늘이 방광에 닿지 않도록 소변을 보도록 한다.
2) 오랜 시간에 걸쳐 시행하므로 침상에 누워 편안한 자세를 취한다.
3) 감염 예방을 위해 포타딘 소독을 하고 부분마취한 후 천자바늘을 복강에 삽입하고 고정한다.
4) 진단을 위한 천자인 경우 검체를 수집하고 바늘을 제거한다. 치료적 복수천자인 경우 바늘에 관을 연결하여 복수가 배액되도록 한다.
5) 복수천자를 시행하는 동안 움직이거나 바늘을 건드리지 않도록 한다.
7. 부분 마취 방법
리도카인 주사약으로 피부 마취를 한다. 바르는 마취제의 경우 천자 바늘을 통해 마취 크림이 복강 내로 침투할 가능성이 있어 마취 주사로 시행한다.
8.알부민
-단백질의 한 종류로, 간에서만 합성되는 특징이 있다. 혈관속에서 체액이 머물게 하여 혈관과 조직 사이의 삼투압 유지를 한다.
알부민의 농도가 감소하면 체액이 혈관밖으로 빠져나가 혈액량이 줄어든다. 혈압이 떨어지고, 부종, 복수, 어지럼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정상 범위는 3.5-5.2g/dL이다.
-알부민 저하시, 교질 삼투압 증가를 위해 알부민을 투약한다.
5% 알부민, 20% 알부민이 있는데 5% 알부민은 사람의 혈장과 동일한 삼투압을 가지고 있어 주입되는 용량만큼 혈액량이 증가하고, 20% 알부민은 주입되는 용량의 4배만큼 혈액량이 증가한다.
-알부민 투여시 주의할 점
순환 혈장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심부전에 주의해야한다. 병원에서는 보통 20% 알부민 100ml를 사용하는데, 알부민 투약 시 4시간 이상 천천히 투약한다.
-급여, 비급여 확인한다.
복수배액 3~5L 한 경우, 알부민 1병, 5L이상 복수배액한 경우 알부민 2병이 급여가 된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도 정맥류 간호와 식도 정맥류 결찰술 EVL (0) | 2023.04.03 |
---|---|
간성뇌증 Hepatic Encephalopathy 증상 치료 간호 (0) | 2023.04.02 |
췌장염 담석 담도결석 증상 간호 및 ERCP (0) | 2023.02.18 |
PTBD, PTGBD 관리법과 간호 (0) | 2023.02.14 |
CT, MRI, PET-CT 차이점, 검사준비 사항 (0) | 202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