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기관지 내시경 검사에 대해 공부해보아요


기관지 내시경 검사란? Braonchoscopy
내시경을 구강에 삽입하여 목 부위, 기관, 기관지 등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검사

호흡기의 구조
코와 입부터 시작해 후두부를 지나 성대를 거처 기관과 기관지를 통해 폐까지 이어지는 부위
검사의 목적

1) 진단적 목적
(1) 종양이나 염증, 협착 등과 같은 비정상적 증상들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생검
(2) 가래 배양검사, 세포학적 검사를 위해 가래를 흡인
2) 치료적 목적
(1) 기도를 막고 있거나 수술 후 무기폐를 일으킨 가래를 제거
(2) 흡인된 작은 이물 제거
(3) 수술 할 수 없는 폐암 환자에게 방사선 물질 삽입 (광선 요법)
검사 과정
검사는 보통 10분 내외 소요된다.
1) 흡입제로 목 부위를 국소 마취
2) 입 또는 코를 통해 내시경을 삽입한 후 성대 및 기관지를 촬영한다.
3) 검사 도중 정확한 검사를 위해 기침을 되도록 참아야 하며, 숨을 천천히 깊게 쉬면 기침을 줄일 수 있다.
4) 병변이 관찰되며 기관지 세척 검사 및 조직 검사를 시행하며, 직접 관찰이 어려운 경우에는 기관지 분비물을 체취하여 세포 검사 및 미생물 검사를 시행한다.
5) 기관지 폐포 세척법은 보통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기관지를 통해 폐포 영역을 세척하는 검사이다.
경기관지 폐생검은 생검 겸자로 가늘고 작은 기관지 병과 함께 폐포를 포함함 폐 실질 조직을 채취하는 검사이다.
경우에 따라 수면내시경을 할 수 있다.
유의사항
1) 검사 전
(1) 동의서 작성
(2) 6시간 이상 금식
(3) 시술 전 안경, 의치 제거한 후에 이동침대에 누워 기관지경실로 이동
2) 검사 후
(1) 검사 후 목 안이 마취되어 있어 음식을 섭취하면 폐로 흡인될 수 있다. 적어도 2-4시간 금식하고 음식은 식혀서 먹는다
(2) 기관지 내시경이 삽입될 때 성대를 거쳐 지나간다. 일시적으로 목 불편감이 있거나 기침이나 혈액 섞인 가래가 나올 수 있다.
3) 유의사항
(1) 후두부종, 후두 협착, 가쁜 호흡이 있는 경우 간호사에게 알린다.
(2) 피 섞인 가래양이 많을 경우 간호사에게 즉시 알린다.
4) 기관지 내시경의 합병증
기관지경련, 기관지 천공, 기흉, 피하기종 등이 생길 수 있다.

참고자료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2467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자 의식사정(GCS, LOC), 운동 사정 방법 (0) | 2023.10.15 |
---|---|
말초 정맥, 중심 정맥 주사 관리 (1) | 2023.09.27 |
진통제의 종류와 마약성 진통제 부작용 (0) | 2023.08.10 |
ANC 저하 환자 역격리 간호 (0) | 2023.08.03 |
의학용어 AVF, 동정맥루 환자 간호, 교육 (0) | 2023.07.25 |